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임상화학 Chapter 2 [초자기구]
    임상화학 2024. 2. 15. 09:00

    1. 눈금의 표시

      1) TC(to contain) pipette

       피펫내에 들어있는 용량을 표시한 것으로, 피펫내에 수은을 넣었을 때 묻지 않으므로 검정시에는 수은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종류의 피펫은 씻어내는 종류로 적은야의 계량용에 주로 이용된다. ex) 마이크로피펫

     

      2) TD(to deliver) pipette

       피펫에서 표시된 용량을 옮겼을 때의 양을 표시한 것으로, 피펫내에 증류수를 넣어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온 량을 기준으로 하고, 검정시에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 종류의 피펫은 급히 불어내서도 안되고, 피펫 끝에 남은 양을 불어도안되는 피펫이다. ex) mohr pipette, volumetric pipette 등

     

    2. 피펫의 종류

      1) volumetric pipette

        피펫의 중앙에 긴 팽대부가 있고 이 부분은 피펫 내벽에 증류수막의 면적을 적게하여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량을 옮길 수 있어, 검체 채취 및 표준액을 취할 때 사용한다.

      2) Ostwald pipette

        volumetric pipette과 비슷한 모양으로 팽대부가 피펫끝 가까이에 있으며, 적은량의 점성이 있는 혈청이나 혈액을 취할 때 사용한다.

      3) serological pipette

        원통관 전체에 용량의 눈금으로 피펫 끝 부분까지 균일하게 표시되어 있다. 이 눈금은 증류수로 검정 눈금이 그어져 있고, 피펫 총량 계측시에만 정확성을 인식하므로 정확을 요하는 표준액, 검체를 취하는 데는 부적합하다.

      4) Mohr pipette

        원통관 전체에 용량의 눈금이 균일한 원통부분(직경이 같은 부분)까지만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즉 피펫 끝 부분의 사선 부위에는 눈금 표시가 없다. 사선부분의 계량을 요하지 않는 시약을 취할 때 사용한다.

      5) mircopipette

        검체 등의 적은 용량인 microliter(uL)로 표시되는 양을 취급할 때 사용한다.

          ㄱ) Sahli pipette : 일정한 크기의 모세관으로 되어 있는 미량 채취용 피펫으로, hemoglobin측정에 쓰인다.

          ㄴ) Lang-Levy pipette : 모세관형으로 중앙부가 잘록한 곳이 있어 용량이 고정되고, wash out pipette으로

                                                constrictive형이다.

          ㄷ) Kirk pipette : 모세관형으로 Lang-Lavy pipette와 비슷하나 잘룩한 곳이 없으나 용량을 눈금 까지 고정시키는                                             straight 형이다.

      6) capillary pipette

           모세관형으로 일정량의 눈금이 모세관에 표시되어 있는 피펫

      7) autopipette 

           tip을 끼어 사용하며 용량에 있어 고정형과 가변형이 있다.

          현재 모든 임상에서 사용하는 피펫이기도 하며 매우 편리하다.

     

    3. 뷰렛(buret)의 종류

      buret이란 표준액을 넗고 적정(★)할 때 사용하는 분석용기구로서 TD로 표시되어 있으며, 용액의 유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stop cork가 붙어 있어 쉽게 적은량도 가할 수 있다. 

     종류로는 보통형, 미량형, 초미량형, 자동뷰렛이 있다.

     

     4. flask의 종류

      1) Erlenmeyer(conical) flask(삼각 플라스크)

        용량은 1~3000mL까지 다양하며, 용도는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주로 적정, 혼합, 조제에 이용된다.

      2) boilng flask

        바닥이 둥근 것으로 가열에 대해 강하며, 환류, 증류장치에 주로 사용한다.

      3) filtering flask(여과용 플라스크)

        삼각플라스크와 같으나 목부위에 가지가 달려 있어 흡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4) kjeldahl flask

        증류 flask와 비슷하나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주로 질소화합물을 분해하는데 사용한다.

      5) volumetric flask(용량플라스크) [★ ★ ★]

        증류 flask와 비슷하나 아랫부분이 편평하고 넓으며, 윗부분은 목이 가늘고 1~2개의 눈금이 있으며 주로 시약, 표준액의      제조 및 희석에 사용하는 정확한 용량기구이다.

     

      5. funnel

       1) funnel : 일반적인 깔때기

       2) ribbed funnel : 깔때기 내면에 아래방향으로 주름을 만들어 여과속도를 높인 것

       3) Buchner funnel : 흡인여과에 사용하는 도자기제 또는 plastic제의 감압 여과기이다. 여과판 위에 여과지를 밀착시키고                                    흡인 여과한다.

       4) separatory funnel(분별깔때기) [★ ★ ]: 간단한 추출과정에 이용하며, 용액층과 용매층을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요중의

                                                                          17-ketosteroid 추출과정 등에 이용된다.

    '임상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화학 Chapter 1 [기초지식편] SI단위  (0) 2024.02.14
Designed by Tistory.